가상화폐 규제 현황
9개국의 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심층 분석 보고서가 최근 공개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EU에서 미국까지 다양한 국가의 규제 동향을 다루고 있습니다.
- 국제 통화 기금(IMF)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 세계 200개 이상의 정부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규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 가상화폐 규제는 자금 세탁 방지, 소비자 보호, 시장 통합 촉진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국가의 접근 방식도 상이합니다.
유럽 연합의 규제 정책
유럽 연합(EU)은 가상화폐를 법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유럽 연합은 자금세탁 방지 지침(AMLD 5)에 따라 가상화폐 사업자들을 금융정보단에 등록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2024년 발효 예정인 ‘암호화 자산 시장 규제(MiCA)’는 가상화폐 발행자와 서비스 공급자에게 강화된 관할 규제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미국의 가상화폐 접근 방식
미국은 가상화폐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연방 및 주 차원에서 다양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및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디지털 자산의 경제적 역할 및 위험성을 조사하며 정책적 대응을 준비 중입니다.
- 와이오밍주와 뉴욕주는 각각 ‘블록체인 TASK FORCE’, ‘BitLicense’ 제도로 가상화폐 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국가들의 규제 전략
아시아 국가들은 가상화폐 규제에 대해 각기 다른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가상화폐를 합법적인 결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중국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일본은 2017년부터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가상화폐를 법정 결제 수단으로 인정하며,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등록 및 감독을 강화했습니다.
- 중국은 관영 디지털 위안화 실험을 통해 소비자용 CBDC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상하이와 베이징 등에서 대규모 시범 사용이 진행 중입니다.
가상화폐 규제의 글로벌 트렌드
전 세계적으로 가상화폐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각국은 기술 발전과 금융 안정성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가상화폐의 합법적 사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불법 활동을 억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세계 경제 포럼(WEF) 조사에 따르면, 금융 범죄를 막기 위한 가상화폐 규제가 2025년까지 글로벌 금융 정책의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 블록체인 및 암호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새로운 규제 기법이 도입되며 기술적 혁신과 법적 안정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