텟조스 블록체인에서 만나는 우라늄 투자 플랫폼
우라늄 투자를 보다 쉽고 투명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이 등장했다. 텟조스(Tezos) 네트워크 상에서 구동되는 Uranium.io는 실제 물리적 우라늄 산화물(U3O8)에 의해 뒷받침되는 토큰화된 자산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매 투자자도 원자력 에너지의 핵심인 우라늄 투자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우라늄 토큰화, 혁신적 투자 접근 방식
런던에 본사를 둔 TriliTech는 텟조스 네트워크와 EVM 호환 레이어-2 네트워크인 Etherlink를 활용해 Uranium.io 프로젝트를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영국 규제를 받은 디지털 자산 회사 Archax가 자산 관리자로 참여하며, 세계 최대 우라늄 생산 업체 중 하나인 Cameco의 규제된 저장고에 실물 우라늄이 보관된다. 이러한 토큰화 방식은 기존의 복잡하고 고비용 구조를 단순화하며, 빠른 거래 정산과 광범위한 투자자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우라늄, 원자력 부흥 속 가치 재조명
원자력 에너지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에서 중요성을 다시 얻으며, 핵심 원료인 우라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라늄 시장은 OTC(장외거래) 거래에 집중되어 있어 소매 투자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TriliTech의 아서 브레이트만(Arthur Breitman)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소유권을 디지털화하면 투자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선례와의 차별성, 안정성 강화
이전에 Uniswap에 출시되었던 Uranium3o8 프로젝트는 초기 구상에서 벗어나며 유동성을 제거해 문제를 겪은 바 있다. 그러나 Uranium.io는 Cameco에 저장된 약 160만 온스의 물리적 우라늄 산화물을 활용해 안정적인 자산 기반을 확보했다. 또한, 커즌 우라늄(Curzon Uranium)과 협력해 우라늄의 주요 시장 접근성도 강화했다.
새로운 투자 흐름, 전통 자산의 토큰화 확대
우라늄 외에도 전통적 상품의 토큰화는 점차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HSBC는 올해 초 홍콩에서 소매 투자자들에게 토큰화된 금 투자 상품을 선보였다. 이런 방식은 낮은 거래 비용과 빠른 정산 시간을 제공하며, 투자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토큰화 플랫폼의 등장은 소매 투자자와 기존 금융기관 모두에게 기존 상품 시장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우라늄과 같은 자산의 디지털화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할 만하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