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에 몰린 테더, 대규모 매집 정황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Lookonchain은 대규모 테더(USDT)가 업비트로 이동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저가 매수(bottom fishing)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업비트에서 비트코인(BTC) 가격이 급락한 이후, 큰손 투자자들이 적극 나선 것으로 보인다.
비상 계엄령 발표 후 발생한 비트코인 급락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비트코인은 국내 거래소에서 일시적으로 급락했다. 당시 BTC 가격은 업비트에서 최저 6만 3천 달러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9만 4천 달러로 회복했다. 현재 글로벌 평균 가격인 9만 5천 8백 달러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 시간 만에 1억 6천만 달러 테더 유입
Lookonchain의 데이터에 따르면, 계엄령 선포 후 한 시간 동안 업비트로 약 1억 6천 3백만 달러 상당의 USDT가 유입됐다. 이는 상당수의 고래 투자자들이 장 중 BTC와 다른 토큰들을 할인된 가격으로 매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테더의 역할과 저가 매수 가능성
테더는 달러에 연동된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가상화폐 시장에서 거래와 매수 수단으로 널리 활용된다. 대규모 테더 유입은 투자자들의 바겐헌팅, 즉 저점 매수 활동을 암시한다. Lookonchain은 이를 "고래들의 매수 기회 탐색"으로 분석했다.
검열 우려와 비트코인의 매력
특히 비상사태와 같은 정부의 강력한 조치가 검열 우려를 불러일으키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압류 저항 특성을 가진 BTC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의 가치는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