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에서 테더 대량 이동, 저점 매수 신호
블록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 Lookonchain에 따르면, 업비트로 대량의 테더(USDT)가 이동하며 저점 매수를 위한 움직임이 포착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비상계엄령 발표로 비트코인(BTC)이 급락한 상황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트코인 급락과 회복, 그러나 여전히 글로벌 평균 하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비상계엄령 선포 직후 한때 6,300만 원까지 급락했으나, 현재는 9,400만 원으로 회복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는 글로벌 평균인 9,580만 원에 아직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투자자들은 이 간극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큰손들의 대규모 USDT 이동, 시장 진입 신호
Lookonchain에 따르면, 비상계엄령 발표 후 1시간 내에 1억 6,300만 달러 상당의 USDT가 업비트로 이동했습니다. 이는 대량 매수에 나선 큰손들의 움직임으로 해석되며, 특히 테더는 암호화폐 거래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저평가된 자산을 매수하려는 의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비상계엄령이 초래한 시장 불안정과 반응
윤석열 대통령은 야당이 북한과 결탁하여 헌정질서를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급 조치를 선언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요인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정 투자자들은 이를 기회로 활용하여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검열 우려로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 증가
현재 상황은 검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며, 비트코인과 같은 압류 저항 자산으로 투자자들이 이동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를 넘어 불안정한 시기에 안정성을 찾으려는 투자자들의 주요 선택지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