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i 메인넷 출시, 누구나 채굴 가능

이미지

Tari 메인넷의 성공적인 출시

Tari Labs는 최근 성공적인 테스트넷을 거친 후 100,000명의 참가자와 함께 Tari 메인넷을 출시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Monero와 병합 채굴이 가능하며, 사용자들이 “소비자용” 장비를 통해 XTM 토큰을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Tari 메인넷의 출시는 PoW(작업증명) 기반 블록체인에서 중요한 마일스톤입니다. 이러한 사용자 친화적 채굴 모델은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 대 가량의 컴퓨터를 타겟으로 하여 접근성을 확대합니다.
  • 또한, 초기 참가자의 성공적 도입을 기반으로 네트워크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테스트넷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더욱 최적화된 업데이트가 준비 중입니다.

글로벌 채굴을 위한 Tari의 새로운 접근

Tari는 새로운 레이어 1 블록체인과 데스크탑 앱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Mac이나 PC를 가진 누구나 간단한 설치 후 컴퓨터의 처리 능력을 이용해 Tari 토큰(XTM)을 채굴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는 PC 사용자 대다수에게 채굴의 문턱을 낮추는 것으로, 실제로 XTM 채굴 참여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수직적 발전이 아닌 수평적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 특히, 데스크탑 앱은 사용자의 하드웨어 사양에 최적화된 속도로 작동하며, 채굴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하고, 참가자가 자신의 시스템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ari 네트워크의 독립성

Tari 네트워크는 종종 Monero의 병합 채굴 사이드체인으로 설명되지만, 팀은 이를 독립적인 레이어 1로 부르는 것을 선호합니다. Monero의 작업 증명 보안 모델을 활용해 Tari와 Monero에서 각각 블록의 절반을 채굴합니다.

  • Tari의 독립적인 레이어 1 블록체인은 블록의 절반을 채굴하여 Monero의 인프라와 협력 관계를 맺으면서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 이 과정에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각자 필요에 맞는 DApp(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유도하여, Tari 네트워크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려고 합니다.

초기 비트코인 채굴에서 영감을 받은 Tari

Tari의 창립자들은 초기 비트코인 시절 개인 컴퓨터로 해시 파워를 기여해 채굴 보상을 얻었던 시기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Tari는 ASIC 저항성을 가진 RandomX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해 경제적 인센티브 구조가 비트코인 채굴 산업처럼 경쟁적이고 상업화되는 것을 방지하려 합니다.

  • 초기에 비트코인은 개인 사용자들이 전용 ASIC 장비 없이도 참여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매우 중앙화된 상태입니다. Tari는 이를 회피하고자 합니다.
  • RandomX 알고리즘은 CPU에 최적화되어 있어, ASIC의 비효율성을 통해 채굴의 공평한 접근성을 유지합니다. ASIC 저항성 덕분에 Tari의 탈중앙화 유지가 강화됩니다.

Tari Universe의 채굴 가미피케이션

Tari Universe는 작업 증명 과정을 시각화하여 채굴자들이 Tari 블록체인 타워의 ‘다음 층’을 구축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용자는 채굴에 할당할 계산 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클릭 한 번으로 채굴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채굴의 가미피케이션은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으며, 사용자 참여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Tari Universe에서의 채굴 경쟁 요소는 Funko, Topps 등의 블록체인 기반 NFT 수집품과 유사한 참여 동기를 제공합니다. 이는 특히 게임 요소들로 블록체인 문화에 친숙한 신세대 사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Tari의 프라이버시와 보안

Monero처럼 Tari는 기본적으로 비공개 잔액과 거래 기록을 유지합니다. 경량화된 개인 거래를 위한 Mimblewimble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모지 기반 주소를 재사용 가능하도록 수정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프라이버시는 암호화폐의 핵심 가치 중 하나입니다. Neilsen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45%의 사용자가 거래의 비밀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Mimblewimble 프로토콜은 모든 거래가 암호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타 사용자의 추적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또한, 이모지 기반 주소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프라이버시를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Tari의 미래 계획

Tari Labs는 크로스체인 거래 레이어와 네이티브 앱 스토어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또한, 초기 사용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에어드롭 프로그램을 통해 브랜드와의 상호작용, Reddit 커뮤니티 참여, 밈 제작 등을 독려했습니다.

  • 크로스체인 기술은 Allbridge의 리포트에 따르면, 2023년에는 세계 블록체인 거래의 10% 이상이 크로스체인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거래의 호환성을 통해 사용자 기반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 초기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특별 보상을 지급하는 에어드롭 전략은 Neilsen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의 72%가 프로모션 때문에 자신의 구매 결정을 바꾼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효과적인 고객 유입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투자자와 자금 조달

Tari Labs는 Blockchain Capital, Pantera, CMT Digital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2018년 125만 달러의 시드 라운드와 2021년 1,260만 달러의 초기 단계 벤처캐피탈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과 같은 초기 투자 성공 사례들은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신호로 남아 있습니다. Tari의 투자 유치는 이러한 성공 사례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갑니다.
  •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이 2023년에 약 2조 US달러 규모로 성장하면서, Tari의 잠재력은 이러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합니다. 현재 지속적인 자금 조달이 Tari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담보하게 됩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