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암호화폐의 미래
[원문]=
양자컴퓨터와 암호화폐의 충돌
양자컴퓨터는 기존의 컴퓨터가 풀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첨단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많은 블록체인에서 사용하는 ECDSA와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무력화할 수 있어 암호화폐 프로토콜에 심각한 위협을 제기합니다. 전문가들은 양자 컴퓨터가 이런 알고리즘을 깨는 데 필요한 성능에 도달하려면 약 10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양자 저항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IBM은 2023년 기준으로 1,000큐비트가 넘는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는 양자컴퓨터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독일의 Frauenhofer 연구소에 따르면, 양자컴퓨터가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암호화 표준의 재정립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양자 저항성 확보를 위한 암호화폐의 움직임
몇몇 암호화폐들은 이미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Quantum Resistant Ledger(QRL)는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최초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XMSS라는 해시 기반 디지털 서명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Nervos Network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두 개의 레이어로 나누어져 있으며, 양자 저항 기술을 손쉽게 통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 2021년, QRL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안전한 스마트 계약 기능을 통해 2,000개 이상의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이는 양자 저항 블록체인의 실효성을 증명합니다.
- Nervos의 CKB(Common Knowledge Base) 레이어는 다양한 리소스와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양자 저항성을 자연스럽게 구현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Algorand와 Internet Computer의 전략
Algorand는 FALCON이라는 NIST가 인정한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양자 저항성을 강화했습니다. Internet Computer(ICP)는 양자 저항성을 위해 커뮤니티와 함께 장기적인 연구 개발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양자 컴퓨터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을 평가하고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 Algorand는 초당 1,000 트랜잭션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보여주며, 이는 양자 저항성을 갖춘 상태에서의 확장성을 시사합니다.
- Dfinity 재단에 의해 발전된 Internet Computer는 프로토콜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향후 양자 컴퓨터의 위협에도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자 저항 암호화폐의 필요성
양자 컴퓨터는 향후 암호화폐 지갑의 개인 키를 노출된 공개 키로부터 유추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 키는 암호화폐의 소유권과 통제권을 제공하기 때문에, 양자 공격으로부터 암호화폐를 보호하기 위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양자 저항성을 갖춘 암호화폐들은 ECDSA 대신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 2022년 기준 국제 암호학회에서 발표된 연구에서는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기존 암호화 기술이 위험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 일반 사용자의 보안 강화와 신원 보호를 위해 에스토니아 정부는 양자 컴퓨터에 대응하는 ID 솔루션을 연구 중입니다.
양자 컴퓨터 위협에 대한 준비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양자 컴퓨터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대체하거나, 암호화폐 블록체인을 하드 포크하여 양자 저항 기술을 도입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미래의 위협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준비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은 양자 컴퓨터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021년,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를 논의하는 개발 커뮤니티는 양자 컴퓨터의 위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로운 블록 구조 제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미래에 대비하여, Ledger와 Trezor 등 지갑 제공업체들은 포스트 양자 암호화 표준을 기반으로 한 지갑 솔루션을 연구하며 사용자 개인 키의 보안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