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위협 대응 암호화폐의 설계와 기능

이미지

양자 컴퓨팅과 암호화폐의 위협

양자 컴퓨팅은 전통적인 컴퓨터보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암호화폐의 주류 암호화 알고리즘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블록체인이 사용하고 있는 ECDSA와 같은 알고리즘을 깨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큽니다.

  • MIT 연구에 따르면, 양자 컴퓨터가 ECDSA을 깨뜨리기 위해 필요한 큐비트 수는 약 2334개로 추정됩니다. 점차적으로 양자 컴퓨터가 발전함에 따라 실현 가능한 숫자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 2019년 구글은 양자 우월성을 입증하며, 양자 컴퓨터가 전통적 컴퓨터보다 특정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암호화폐의 양자 저항성 확보

양자 컴퓨팅의 위협이 현실화되기 전까지,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이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몇몇 암호화폐는 이미 양자 저항성을 갖춘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을 도입하고 있으며, 다른 프로젝트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해결책을 통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 ISO 30711은 포스트 양자 암호화 관련 국제 표준 중 하나로, 여러 암호화폐 개발자가 이를 준수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DARPA는 민간 및 학계와 협력하여 포스트 양자 암호화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생태계의 잠재적인 보호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팅의 데이터 처리 방식

양자 컴퓨터는 전통적인 컴퓨터와 다르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전통적인 컴퓨터는 0과 1로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를 사용해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IBM에 따르면, 큐비트는 양자 입자를 조작하고 측정하여 만들어지며, 이를 조합하면 데이터 처리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 D-Wave는 5000개의 큐비트를 탑재한 양자 컴퓨터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전통적 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
  • 큐비트의 특성 중 하나인 초전도성은 양자 컴퓨팅이 계산을 수행하는 동안 오류를 줄여 주며, 높은 안정성과 속도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양자 컴퓨팅이 가져올 보안 위협

양자 컴퓨터가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데이터를 보호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깨뜨릴 날이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암호화폐 지갑 해킹, 블록체인 거래 조작, 이중 지출, 51% 공격 등 여러 위험 요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양자 컴퓨터의 발전은 제조업과 군사 보안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으며, 이는 암호화폐 외의 분야에서도 광범위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는 양자 컴퓨팅의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책을 개발 중이며, 이는 2024년까지 발표될 예정입니다.

양자 저항성 확보를 위한 주요 암호화폐

양자 저항성을 갖춘 암호화폐로는 Quantum Resistant Ledger (QRL), Nervos Network, Cellframe, Algorand, Internet Computer (ICP)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양자 컴퓨팅 위협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QRL은 2021년 양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용 서명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금융 거래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Algorand는 지속적으로 여러 인증 기관과 협력하여, 양자 저항성을 갖춘 암호화 기술의 인증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기술 안정성을 크게 강화하는 움직임입니다.

QRL의 양자 저항성 구현

Quantum Resistant Ledger는 eXtended Merkle Signature Scheme (XMSS)라는 해시 기반 디지털 서명 시스템을 통해 양자 컴퓨팅 공격에 저항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된 서명마다 상태를 갱신하여 큐비트가 올바른 개인 키를 유추하지 못하게 합니다.

  • XMSS는 NIST가 추천하는 포스트 양자 암호화 기법 중 하나로, 주로 민감한 정보 보호에 사용됩니다.
  • QRL은 트랜잭션 추적 보호에도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익명성을 강화하고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Nervos Network의 유연한 구조

Nervos Network는 계층 구조를 통해 양자 저항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CKB의 셀 모델과 RISC-V 기반 가상 머신을 활용하여 새로운 암호화 알고리즘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RISC-V는 오픈 소스의 CPU 설계 소개로, 벤처 투자자 및 글로벌 대기업에서 그 활용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는 Nervos Network의 확장성과 연관이 깊습니다.
  • Nervos CKB는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Cellframe의 양자 시대 대비

Cellframe은 양자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유연한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특정 서명 알고리즘이나 합의 메커니즘에 의존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암호화 알고리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Cellframe의 설계는 다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여러 블록체인 사이의 상호 운영성을 제공합니다.
  • 2021년에는 DEX(분산형 거래소) 및 NFT 마켓 구현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다변화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Algorand의 포스트 양자 준비

Algorand는 FALCON이라는 NIST가 인증한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을 통해 양자 저항성을 확보했습니다. 이 블록체인은 2022년부터 FALCON 서명을 활용한 상태 증명을 도입하여 블록체인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FALCON은 높은 계산 효율성과 보안성을 제공하여 금융 및 민감한 데이터 취급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Algorand의 구조는 매주 수백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보이며, 이는 그들이 추구하는 확장 가능성과 보안을 동시에 만족합니다.

ICP의 양자 저항성 향한 노력

Internet Computer는 양자 저항성을 갖춘 블록체인을 만들기 위해 커뮤니티와 함께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새로운 양자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시기에 새로운 암호화 기법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 Internet Computer의 목표는 “월드 컴퓨터”로, DeFi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공공 클라우드의 일환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2023년까지, 디앱의 수가 200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장기적으로 넥스트젠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양자 저항성 확보의 도전 과제

양자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도전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양자 저항성을 위한 업그레이드에 동의해야 하며, 이는 하드 포크와 같은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를 과소평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드 포크는 체인의 분리를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 기반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Ethereum Classic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 포스트 양자 기술의 도입은 초기 높은 비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 기업은 비용 대비 효율성과 보안을 검토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자 컴퓨팅에 대한 대비 전략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양자 컴퓨팅의 위협에 대비해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포스트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대체하고, 지갑 주소의 재사용을 피하며, 양자 안전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종종 혁신적 연구소와 협력하여 새로운 암호 기술을 시험하는 방식이 채택됩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 2025년까지는 양자 저항성을 중점으로 한 ICO와 신생 기업의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벤처 캐피탈의 투자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